교육정보
국제바칼로레아(IB) 교육이란?
IB 교육의 목표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더 나은 평화로운 세상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식, 탐구심, 배려심이 풍부한 평생학습자 양성"
국제 바칼로레아 사명 선언문 (전문)
IB의 목표는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더 나은 평화로운 세상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이 풍부하고 탐구심과 배려심이 많은 청소년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본 기관은 학교, 정부 및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국제적 수준의 교육과 엄격한 평가 시스템을 갖춘 도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IB 프로그램은 전 세계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공감할 줄 알며, 서로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평생 학습자가 될 것을 장려합니다.
IB 학습자상(Learner Profile)
학교급별 프로그램
| 초등학교 (3~12세) | 중학교 (11~16세) | PYP
(Primary Years Programme) 1997~ |
MYP
(Middle Years Programme) 1994~ |
|---|
국가 교육과정에 적용, 자국 언어로 운영
| 고등학교(16~18세) | DP
(Diploma Programme) 대학 진학 과정 1968~ |
CP
(Career-related Programme) 직업 연계 과정 2012~ |
|---|
IB 공식 언어로 운영 또는
이중언어프로그램 (IB 공식 언어 및 자국 언어)
인증 체계
-
관심학교 IB 도입을
검토·준비하는 학교 ⯈ IB 프로그램 이해 및 검토
⯈ 학교관리자 IB 연수 참가 -
후보학교 인증에 필요한 제반
교육활동을 전개하는 학교 ⯈ 일부학년 시범운영 (PYP/MYP)
⯈ IBO의 원격 및 방문 컨설팅
⯈ 전 교직원 IB 연수 이수 -
인증학교 IB로부터 인증을 받은 학교
(IB WORLD SCHOOL) ⯈ IB 프로그램 공식 운영
⯈ 지속적 교직원 연수
⯈ IB 교육 네트워크 참여
PYP (Primay Years Programme)
3~12세 대상, 유·초등 프로그램
- 교실 안과 밖에서 ‘탐구하는 사람’으로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 프레임워크
- 국가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평가의 원리·체계 제시
- 전통적인 교과의 경계를 초월한 학습 추구, 자신과 타인의 존중 추구
- 6개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학교에 맞는 POI(Programs of Inquiry, 탐구프로그램) 구성
우리는
누구인가우리가 속한
공간과 시간우리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세상이
돌아가는 방식우리 자신을
조작하는 방식우리 모두의
지구 - UOI(Unit of Inquiry, 탐구단원) 수업 계획에 따라 개념* 기반의 구조화된 탐구 중심 학습
-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수업 밀착형 평가, 지속적인 학생 성장 평가
- ‘PYP 전시회’: 초학문적 주제 기반 탐구발표회(최종 학년)
MYP (Middle Years Programme)
11-16세 대상, 중학교 프로그램
- 학생들이 비판적·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성찰하는 사람으로 자라도록 지원하는 학습 프레임워크
- 3~5년 프로그램, 국가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평가의 원리·체계 제시
- 8개 교과군: 언어와 문학(국어), 수학, 개인과 사회, 과학, 언어습득(외국어), 예술, 체육과 보건, 디자인
- 실생활(‘세계적 맥락’)을 고려한 개념*(‘핵심 개념’, ‘관련 개념’) 기반의 탐구 중심 학습과 융합(간학문) 학습
- ATL을 통한 창의적·비판적 사고력 중심 평가
- ‘Unit Planner’ 등을 활용한 단원 수업·평가 계획 및 학교 수준 교육과정 공동 설계
- ‘MYP 프로젝트’: 교과 융합 주제 기반 공동체 프로젝트(최종 학년)
DP (Diploma Programme)
16~19세 대상, 고등학교 프로그램
- 신체적·지적·정서적·윤리적 성장 및 학문적 성장 추구
- 교과군과 과목의 내용 체계와 평가 방법을 제시
- 6개 교과군[언어와 문학(국어), 언어습득(외국어), 개인과 사회, 과학, 수학, 예술]과 핵심과정(지식이론/소논문/창의·활동·봉사)로 구성
- 고등학교 2~3학년에 이루어지며, 다양한 선택과목 중 IB과목을 선택하여 이수
IB의 기원 및 현황
⯈ 1968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유엔 등 국제기구 주재원, 해외 주재 상사의 자녀들을 위해 개발됨
⯈ 전 세계 약 160개국, 5900개 이상의 학교, 약 200만명의 학생 참여
IB 프로그램에서 '개념'이란?
특정한 기원, 주제, 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지속적인 중요성을 지니는 보편적인 원리 또는 관념. 개인적·지역적·세계적으로 의미 있는 쟁점이나 아이디어를 탐구하기 위한 '렌즈'로, 학생들이 교과의 핵심을 파악하고, 교과 경계를 넘어 새로운 맥락으로 전이가능한 이해(transferrable understanding)를 구성하도록 도움.
| PYP 핵심 개념 | MYP 핵심 개념 |
|---|---|
| 형태, 기능, 변화, 원인, 연결, 관점, 책임 | CP
(Career-related Programme) 직업 연계 과정 2012~ |
교수·학습 접근 방법
ATT (Approaches To Teaching, 교수 접근 방법)
교수 접근 방법이란 3세부터 19세까지의 IB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교육 목적과 철학을 교실에서 실제로 구현하는 핵심 요소로,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방식이나 전략을 의미한다.
| 교수 접근 방법 | 내용 |
|---|---|
| 탐구에 기반 (based on inquiry) |
학생들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
| 개념적 이해의 강조 (focused on conceptual understanding) |
학생들은 다양한 개념을 탐구하여 학문의 이해를 넓히고, 개념의 연관성을 찾으며 새로운 맥락에 적용시킨다. |
| 지역과 세계적 맥락에 연결 (developed in local & global contexts) |
실생활 사례와 맥락을 활용하며, 학생들이 새로운 정보를 접할 때 자신의 경험과 주변 세계를 연관 지어 이해하게 한다. |
| 효과적인 팀워크와 협력의 강조 (focused on effective teamwork and collaboration) |
학생들 간의 팀워크와 협력, 교사와 학생 간의 협력적인 관계를 강조한다. |
| 학습의 방해 요소를 제거 (designed to remove barriers to learning) |
수업을 통해 학생의 정체성과 개별 학습 요구를 파악하여 각자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습 기회를 창출한다. |
| 평가 정보의 활용 (informed by assessment) |
평가는 학습을 장려하고 학습 성과를 측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학생에게 제공하는 효과적인 피드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ATL (Approaches To Learning, 학습 접근 방법)
학습 접근 방법은 IB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수행해야 할 5가지 구체적인 전략이자 기능, 태도를 말한다. 학습 접근 방법의 기능은 학생의 탐구를 지원하며, 학생들을 적극적이고 서로를 격려할 줄 아는 평생 학습자로 양성하고자 하는 IB의 교육목표에 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학습 접근 방법 | 하위기능 | 의미 |
|---|---|---|
| 사고 기능 (Thinking Skills) |
비판적 사고력 | 아이디어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 및 평가하기 |
| 창의적 사고력 | 새로운 생각을 도출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고려하기 | |
| 정보의 전이 | 다양한 맥락과 상황에서 기능과 지식 활용하기 | |
| 성찰과 메타인지 | 자신의 학습 과정과 결과 성찰하기 | |
| 조사 기능 (Research Skills) |
정보 문해력 | 계획 및 구성하기, 데이터 수집과 기록하기, 정보의 해석, 종합 및 평가하기 등 |
| 미디어 문해력 | 미디어와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 및 분석하기, 활용하기 등 | |
| 미디어/정보의 윤리적 사용 | 사회적, 윤리적 규범을 지키며 기술 및 정보를 다루기 | |
| 의사소통 기능 (Communication Skills) |
정보 교환 | 문자나 글을 듣거나 해석하고, 말하기 |
| 문해력 | 읽기, 글쓰기, 정보수집 등 | |
| ICT(정보통신기술) | 기술과 도구를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조사, 공유 및 소통하기 | |
| 대인 관계 기능 (Social Skills) |
긍정적인 대인 관계를 맺고 협력하는 기능 | 긍정적인 대인 관계를 맺고 협력하는 능력 기르기 |
| 사회 정서적 지능 |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 이해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거나 갈등 해결하기 등 | |
| 자기관리 기능 (Self-Management Skills) |
관리 | 시간과 과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
| 마음가짐 | 마음 챙김, 끈기, 감정 관리 등 마음을 다스리는 전략 사용하기 |